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애플페이 교통카드 충전과 아이폰 티머니 사용 방법

    삼성 갤럭시에서만 가능했던 교통카드 기능이 이제 아이폰에서도 지원되기 시작했죠.

    2025년 7월 22일부터 국내 아이폰에서도 티머니를 교통카드로 등록할 수 있게 되면서 지갑 없이 대중교통을 탈 수 있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설정 방법부터 충전까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

     

     

    애플페이 교통카드 충전 완벽 가이드: 아이폰 티머니 사용법 총정리

     

     

     

     

     

     

    아이폰에서도 드디어 티머니 사용 가능해졌다!

     

     

     

    아이폰 유저라면 한 번쯤 갤럭시의 삼성페이 교통카드를 부러워해본 적 있으실 거예요. 그동안은 NFC를 활용한 교통카드 기능이 제한돼 있었죠. 하지만 이번 업데이트로 아이폰과 애플워치 모두에서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다만 기존 후불 교통카드 방식이 아닌 선불 충전형이라는 점은 꼭 알아두셔야 해요.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아이폰과 애플워치를 각각 별도로 등록해야 한다는 겁니다. 아이폰에서 등록한 카드를 워치로 옮기면 기존 아이폰 카드가 사라지니 두 기기 모두 사용하고 싶다면 개별 등록을 해주세요.

     

    애플페이 교통카드 등록 방법

     

     

    등록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아이폰에서 지갑(Wallet) 앱을 실행하고 우측 상단에 ‘+’ 버튼을 누른 뒤 교통카드 → Tmoney를 선택하면 됩니다. 이후 안내에 따라 약관 동의를 하고 최소 3,000원을 충전하면 바로 교통카드가 생성돼요. 결제수단은 애플페이에 등록된 카드로 연동되는데, 여기서 현대카드만 충전 수단으로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하세요.

     

    현대카드가 없는 경우에는 ‘모바일 티머니’ 앱을 설치해 충전하면 됩니다. 앱을 통해 계좌이체, 신용·체크카드 충전이 가능하지만 신용카드 충전은 현대카드만 지원된다는 제한이 있어요.

     

     

     

     

    충전과 자동충전 설정 꿀팁

     

     

    교통카드가 선불 충전형이다 보니 잔액이 부족할 경우 대중교통 이용이 제한됩니다. 이런 불편함을 줄이려면 자동충전 기능을 활용해보세요. 잔액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미리 지정한 금액이 자동 충전돼 훨씬 편리합니다.

     

    자동충전은 지갑 앱과 모바일 티머니 앱 양쪽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현대카드나 계좌이체를 사전에 연결해두셔야 정상 작동합니다.

    애플워치에서도 별도 등록이 가능하며 충전 역시 워치 앱 내에서 할 수 있습니다. 교통카드만 따로 등록해두면 지갑 없이 워치만 차고도 버스나 지하철을 탈 수 있어요.

    마무리

    오늘은 애플페이 교통카드 충전 방법과 아이폰 티머니 사용법을 정리해드렸습니다.

    드디어 아이폰 유저도 갤럭시처럼 간편하게 스마트폰을 교통카드로 쓸 수 있게 됐는데요. 아직 현대카드만 충전 가능하고 후불 기능은 지원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지만, 지갑 없이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큰 변화가 아닐까 싶습니다.

     

    혹시 여러분은 애플페이 교통카드를 이미 등록해보셨나요? 사용해보니 편리한지, 아쉬운 점은 없는지 댓글로 경험담을 공유해주세요. 앞으로도 이런 꿀팁을 계속 전해드릴게요! 🙌

     

    반응형